전기차 포비아 해소 위해 적극적인 행보 보이는 현대차그룹
현대차그룹이 적극 해명에 나서는 이유…"전기차는 필연적"

전기차 포비아 확산에 대응하기 위해 적극적인 소통으로 해명에 나서고 있는 현대자동차그룹. 사진은 현대차그룹의 전기차 배터리 시스템 이미지. (사진=현대자동차그룹)/그린포스트코리아
전기차 포비아 확산에 대응하기 위해 적극적인 소통으로 해명에 나서고 있는 현대자동차그룹. 사진은 현대차그룹의 전기차 배터리 시스템 이미지. (사진=현대자동차그룹)/그린포스트코리아

현대자동차그룹이 최근 연이은 전기차 화재로 인해 커지고 있는 ‘전기차 포비아(전기차 공포증’에 대해 정면돌파를 이어가고 있다,

최근 정부와 자동차 및 배터리 업계는 전기차 포비아 극복을 위해 전기차 화재를 예방하고 안전성과 신뢰를 높이는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만, 대중들의 전기차에 대한 불신과 공포는 계속되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이러한 불신과 공포를 줄이기 위해 이슈에 적극 대응하고 있다. 전기차 화재 발생과 대책 마련에 적극 목소리를 내며, 잘못된 정보와 오해를 바로잡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 전기차 포비아에 대해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내고 있는 현대차그룹

지난 15일, 15년간 개발 노하우를 축적해 완성한 BMS 기술을 공개한 현대차∙기아. 사진은 BMS 인포그래픽. (사진=현대자동차그룹)/그린포스트코리아
지난 15일, 15년간 개발 노하우를 축적해 완성한 BMS 기술을 공개한 현대차∙기아. 사진은 BMS 인포그래픽. (사진=현대자동차그룹)/그린포스트코리아

올해 8월은 전기차 역사상 가장 곤혹스러운 달로 기록될 전망이다. 지난 1일 인천의 한 아파트에서 전기차 화재로 인한 대형피해가 발생한 이후 잊을만 하면 전기차 화재가 발생하면서 대중들이 전기차의 안전성에 의구심을 품기 시작한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자동차업계는 난색을 표하고 있다. 고객들은 그동안 업계 비밀로 치부됐던 전기차에 탑재된 배터리 정보 공개를 요구했고, 일부 기업들은 이 과정에서 자세한 정보 공개를 미루면서 여론의 뭇매를 맞기도 했다.

그로부터 한 달이 지난 지금 정부와 자동차 기업들은 전기차 화재 예방을 위한 대책을 마련·발표했지만, 대중들의 전기차 안전성에 대한 공포는 사그라들지 않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적극적으로 대응에 나선 기업이 있다. 바로 현대자동차그룹이다. 현대차그룹은 전기차 화재 발생 초기부터 이슈에 참고자료를 발표하며 대응에 나서고 있다.

실제 대중들의 배터리 정보 공개 요구에 현대차그룹은 배터리 정보 공개뿐만 아니라 지난 15일 배터리 안전 핵심기술인 BMS를 공개했다. 또 배터리 과충전이 화재의 원인이 된다는 주장에 배터리 충전량과 화재는 상관이 없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이러한 대응에도 전기차 포비아가 해소되지 않자 현대차그룹은 30일 전기차 화재에 대한 오해와 진실을 주제로 참고자료를 발표했다. 전기차 화재에 대한 오해를 바로잡아 막연한 전기차 불안감을 해소하겠다는 것이다.

◇ 현대차그룹이 전기차 포비아에 적극 목소리를 내는 이유는?

해당 자료를 통해 현대차그룹은 우선 전기차 화재가 내연기관차 화재보다 적다는 점을 꼬집었다. 실제 소방청이 자동차 누적 등록대수를 기준으로 산출한 1만 대당 화재건수는 비전기차 1.86건, 전기차 1.32건으로 전기차 화재비율은 비전기차에 비해 30% 정도 낮은 상황이다.

이에 대해 일부 전문가들은 내연기관차는 출시가 오래되고 노후된 자동차가 많은 반면, 전기차는 대부분 신차로 평균 화재 건수로 평가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그러나 현대차그룹은 소방청의 화재 통계는 충돌사고, 외부요인, 전장 부품 소손 등에 따른 화재를 모두 포함하고 있고, 초소형 전기차, 초소형 전기화물차, 전기 삼륜차까지 집계되기 때문에 이러한 요인들을 제외하면 승용 전기차에서 고전압 배터리만의 원인으로 화재가 난 사례는 더 줄어든다고 설명했다. 전기차 화재가 더 빈번하다는 것은 오해라는 주장이다.

이와 함께 현대차그룹은 전기차 화재가 열폭주 현상으로 화재진압이 어렵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반박했다. 전기차 화재는 내연기관차와 마찬가지로 여러 요인으로 인해 발생하고 있으며, 실제로 기타 부품 등 외부 요인으로 인한 대부분의 전기차 화재는 배터리 열폭주를 수반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또 배터리팩은 고도의 내화성, 내열성을 갖춰 배터리 이외 요인으로 화재 발생 시 불이 쉽게 옮겨붙지 않으며, 배터리 화재의 경우에도 최신 전기차에는 열폭주 전이를 지연시키는 기술이 탑재돼 조기진압 시 화재 확산 방지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화재 진압까지 걸리는 시간이 내연차보다 길다는 것도 오해라고 밝혔다. 현대차그룹은 “일부 전기차 화재에서 초기 진압은 단시간에 이뤄지더라도 이후 혹시 모를 배터리 화학 반응에 대비해 차량을 일정 시간 소화수조에 담가 놓거나 질식포로 덮어 모든 배터리 에너지가 소모될 때까지 관리한다”며 “다만 이 과정은 소방청 관리 하에 안전하게 이뤄지고 주변에 화재 피해를 확산시킬 수 없기 때문에 긴 화재 진압 시간에 대해 불안감을 가질 필요는 없다”고 설명했다. 또 소방기술 솔루션 업체들이 전기차 화재 진압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어 전기차 화재의 진압시간은 점차 짧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이외에도 전기차가 지하주차장 화재에 더 위험하다는 것은 오해로, 차량 종류와 상관없이 스프링클러의 작동 여부가 가장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배터리 충전량과 화재의 연관성에 대해서도 오해를 지적했다. 전기차 제조사들은 전기차 배터리를 100% 충전해도 충분한 안전범위 내에서 관리되도록 설계하고 있으며, 100% 충전해도 마진이 존재하고 BMS가 과충전을 차단·제어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현대차·기아 관계자는 “배터리 셀 제조사와 함께 품질을 철저히 관리하고,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을 통한 사전 진단으로 더 큰 사고를 예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배터리 이상징후 통보 시스템의 사각지대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비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차그룹은 “전기차 전환은 국가별 시간 차이는 있겠지만 기후위기 시대에 탄소감축을 위한 필수 불가결한 선택”이라며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감소)를 극복하고 전기차 시대에 발맞춰 합류하기 위해서는 전기차 관련 오정보의 확산을 막고 올바른 해법을 추구하기 위해 자동차 제조사와 정부, 사회 각계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한편, 현대차는 지난 28일 2024 CEO 인베스터 데이를 개최하고, 미래 중장기 전략인 ‘현대 웨이’를 발표했다. 미래 모빌리티 시장 리드를 위한 이번 전략에도 현대차는 전기차 모델 확충과 배터리 내재화 등 전기차 관련 전략을 주요 전략으로 꼽았다.

장재훈 현대차 사장 역시 “2035년 이후 유럽, 미국 등 주요 해외시장에서는 전기차가 아니곤 판매를 할 수 없을 것”이라며 “전기차는 궁극적으로 나아가야 할 길이 맞다”고 설명했다. 전기차 캐즘과 전기차 포비아라는 위기를 정면 돌파하겠다는 그룹의 의지와 일맥상통하고 있는 것이다. 

[email protected]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